2015년 9월 18일 금요일

오픈프라이머리 란?






1. 개념

  오픈프라이머리(Open Primary)는 대통령후보 등을 정하는 예비선거(Primary)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당원에 국한하지 않고 국민 누구에게나 개방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즉, 정당의 대통령후보 등을 당원이 아닌 국민들이 직접 선출한다는 점에서, 개방형 경선제, 국민형 경선제, 완전국민경선제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미국의 대통령선거에서 정당별 후보를 선출하는 예비경선의 한 방식에서 유래되었다.


2. 장단점

  일반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의 장점은 상향식 투명공천을 지향할 수 있고, 국민이 직접 뽑는다는 점에서 국민후보라는 명분을 제고할 수 있으며, 정당원보다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국민이 참여하기 때문에 참신한 정치신인을 발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대국민 관심유발로 경선 흥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반면, 오픈프라이머리의 단점은 정보의 부족 등으로 인해 정치신인보다는 인지도 있는 현역프리미엄을 가진 기존 정치인이 선택될 수 있고, 정당정치의 근간인 진성당원과의 충돌가능성이 있으며, 타 정당후보가 경쟁력이 약한 후보를 찍는 역선택의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예비선거권자가 넓기 때문에 더 많은 조직 및 금품을 동원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참조> 오픈프라이머리의 장단점

장점
단점
상향식
투명공천 지향
정치신인보다는 인지도 있는
현역프리미엄 공고
국민이 직접 뽑은
국민후보라는 명분 제고
정당정치의 근간인
진성당원제와의 충돌
정치신인을
발굴하는 계기
타 정당후보가 경쟁력이 약한 후보를 찍는 역선택 가능성
대국민 관심유발로
경선 흥행
조직동원으로
금품선거 우려


3. 사례

  오픈프라이머리는 미국에서 가장 활성화되고 있는데, 미국의 대선과정은 민주·공화 각 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해 주(州)별로 예비선거인 오픈프라이머리를 치른 후 대선후보 추대를 위한 전당대회를 갖는다. 그리고 대통령 선거절차를 거치게 된다. 대개 6개월간 각 주를 돌면서 진행되는 프라이머리는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인데, 프라이머리를 통해 확정된 후보를 형식적으로 공표하면서 출정식도 갖게 된다.


4. 관련용어

1) 코커스

  코커스(Caucus)는 미국에서 활성화 되어 있는 당원대회이다. 즉, 정당에 등록된 당원들만이 참가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를 지지하는 대의원을 선출하고, 여기서 선출된 대의원들이 전당대회에서 투표하여 대통령후보를 정하는 것이다. 당내 행사이기 때문에 선거관리도 주정부에서 하지 않고, 해당 주의 정당위원회에서 담당한다. 코커스는 미국 50개주 중 23개 주가 채택하고 있다.
  반면, 27개 주가 채택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는 당원이 아닌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예비선거이고 주정부에서 선거관리를 담당한다는 점에서, 코커스와 차이가 있다.

2) 컨벤션효과

  컨벤션효과(convention effect)는 전당대회, 경선대회와 같은 정치이벤트에서 승리한 대선후보나 해당정당의 지지율이 이전에 비해 크게 상승하는 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당대회효과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지지율이 낮은 정당은 켄벤션효과를 노리고 전당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국면전환을 꾀하기도 한다.  
 -

댓글 없음: